-
[철도모형] PWM이란?Train Model 2021. 7. 3. 19:22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8E%84%EC%8A%A4_%ED%8F%AD_%EB%B3%80%EC%A1%B
펄스 폭 변조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펄스 폭 변조의 변조된 펄스 폭(0%,25%,%0%,75%,100%) 0v~5v기준 펄스 폭 변조(Pulse Width Modulation, PWM) 방식은 펄스의 폭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변조한다. 때때로 PDM(pulse-duration modulation)라고도 한다. 이러한
ko.wikipedia.org
최근 철도모형 컨트롤러중 PWM 기능을 가진 것들이 있다는 설명이 많아서 요즘 떨어지는 기억력을 보충하고자 포스팅. 참조로 저는 공돌이이지만 화학전공으로 전기/전자는 문외한입니다...좀 더 가슴으로 확 와닫는 블로그 글이나 자료가 있으면 공유 해 주세요.
PWM은 Pulse Width Modulation, 즉 펄스 폭 변조라는 뜻이라고 한다. 0~12V 까지 일정한 전압이 순차적으로 올라가는 가변저항 방식이 아니라 0~최대출력이 주어진 입력값에 따라 왔다갔다 파도를 치는데, 이 입력값이 높아질 수록 최대출력의 진폭이 점점 증가하여 종국에는 최대 출력에 이르게 되는 전압 조절 방식이라고 보면 되겠다.
전기/전자에 문외한인 사람 입장에서 이해하면, 1V의 약한 전압으로 12볼트용 모터를 쭉 돌리는 것 보다 순간적이나마 최대 전압을 일정한 파장의 주기로 보내주면, 마치 달려가는 말에 채찍 때리듯 좀 더 강한 에너지를 구동부에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. PWM이 철도모형의 컨트롤러에 도입되고 나서 저속운전이 좀 더 세밀해졌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 바로 그런 이유인 듯 하다. 저출력에서도 넉넉한 전압 출력으로 모터가 힘있게 돌아가는.
확실히 일반 가변저항방식 대비, PWM 기능이 있는 컨트롤러들을 이용해 보면 순간적으로 확 출발하는 소위 '로켓출발'의 우려가 적은 편이고 우리가 생활에서 흔히 보는 철도들과 같은 스무스한 출발을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. 최근 발매되는 모형제품에 포함된 '코어리스모터'를 활용하면 더더욱.
TOMIX/KATO 제품 중 PWM이 가능한 컨트롤러는 어떤 것이 있는지 제 다른 포스팅을 참조 해 보시기 바람(포스팅 재탕은 아닙니다).
https://yoonoca.tistory.com/333
[철도모형] 토믹스 컨트롤러 (파워유닛) 에 대해 알아보자.
오늘은 실제 가지고 있는 네 종류의 토믹스 컨트롤러 '파워유닛'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. 이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파워유닛이 세 종류 출시되어 있으나, 굳이 특정 파워
yoonoca.tistory.com
https://yoonoca.tistory.com/334
[철도모형] 카토 컨트롤러 (파워팩) 에 대해 알아보자.
토믹스쪽 소개한 김에 이번에는 카토쪽 컨트롤러인 '파워팩'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다. 약간의 gut feeling이지만, 일본에서는 '호치키스'나 '캐터필러' 같이, 카토의 컨트롤러 이름인 '
yoonoca.tistory.com
'Train Mode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철도모형] 다이소 디스플레이 박스와 조합한 초심플 레이아웃. (0) 2021.08.02 [철도모형] 토믹스 오이가와 철도 '기관차토마스'세트 발매정보. (0) 2021.07.30 [철도모형] 아놀드라피드 입환커플러 (TMS No.321로 부터) (0) 2021.07.03 [철도모형] 그린맥스 홈페이지가 리뉴얼. (0) 2021.06.28 [철도모형] 토믹스 TCS 플랫폼 사운드 이펙트 유닛 (품번 : 5721) (0) 2021.06.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