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항문과 렌즈는 조여야 제맛.Camera & Picture 2010. 4. 5. 20:57
제목이 좀 거시기 하지만. 그것이 진실인것을 얼마 전 부터 알았네.
(PENTAX K200D + 번들 18-55mm, 55mm, f8.0, 1/250)
요즘 시들한 DSLR 을 좀 활력을 불어넣고자, 큰맘먹고 스타렌즈...는 지르지 못하고 시그마 18-50 f2.8을 중고로 하나 질렀다. 후핀의 압박이 있어 교정을 받긴 해야 하지만, 어쨌든 녀석을 써 보기 위해 다시 이캐백이를 들었다는 것이 의미가 크다 하겠다...;;;
어쨌든, DSLR을 영접하고 나서 지금까지의 가장 큰 오류가
1) 아웃오브포커스!
2) 밝은 사진!
이었던 것 같다. 그런 일련의 행위를 반증하듯, A50.4를 영입하여 나름 쏠쏠한 재미를 보았었고, 그 반면에 대부분의 샷들이 흐리멍덩한 경계면을 가진 사진들이 대부분이었던것을 생각해본다. 뭐 물론 대부분의 사진들이 야외샷보다는 실내샷이 많아서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은 든다만..
(PENTAX K200D + A50.4, 75mm(고정), f1.8, 1/15, MF - 이게 뭥미???)
그래서 이제는 '조여보자'로 가닥을 새로 잡았다. 그 일환으로 일전 이캐백이 영입 후 마지막 오토픽쳐 사용지점이었던 해운대 수변공원으로 다시 갔다. 마침 날씨가 맑아서 조임을 평가해보기는 더할나위 없는...
일단 Reference로 그동안 거의 쓰지않았던 오토픽쳐모드를 다시 켜서 여러방향 평가를 해 보니, 거의 대부분의 조리개가 f10.0에서도 그럭저럭한 사진이 나오더라는 것. 반면 개방하면 할 수록 흐리멍덩하고 재미없는 사진이 나온다.
그래서 얻은 지론. 조여도 날라갈건 날라갈 수 있고, 오히려 사진은 더 선명하고 재미있게 나와준다는 것. 특히 색감 하나로 먹고사는 펜탁스는 더욱 조이면 조일수록 재미있는 사진이 나올 수 있겠다 싶은것.
그래서 당분간은 조인다. 특별히 어두컴컴한 실내가 아닌 이상은.
그리고 이케백이의 액정 화면은 더이상 믿지 않으련다. 어둡게 찍혔다고 생각하고 집에와서 풀어보면 전부 휘엉청 밝다..
(PENTAX K200D + SIGMA 18-50mm, 23.13mm, f10.0, 1/250)그러고보니 CCD에 때가꼈나...사진이 좀 그렇네;;;
'Camera & Pi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필카영입. 장비 보강 및 색감비교 2!! (4) 2010.06.03 부산대 앞. 카메라 기종별 색감차이 매우 간단비교;;; (2) 2010.05.24 꽃놀이 한바탕.. (6) 2010.04.12 렉삼이...(LX3) (6) 2010.04.07 항문과 렌즈는 조여야 제맛. (2) 2010.04.05 구미. 눈내리는 낮 (2) 2010.01.05
아 이제야 형 블로그 방문이 되는군요. ^^
그전에는 아무리 접속해도 안되더니.. 블로그가 바뀐거더라는.. 그럼 한번 쭉 둘러보겠습니다. ㅎㅎㅎ
잘 모르지만서도 두번째 사진은 노출이 오버된 거 같네요. 수동렌즈 쓰신거 같은데, 펜탁스는 수동렌즈 사용시 측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걸로 압니다.
듣기로는 노출 고정 버튼을 누르고 난 이후에 촬영하면 측광이 된다고 하더군요.
그러니까 수동렌즈 사용시에는 셔터를 릴리즈하기전에 항상 노출고정 버튼을 눌러야 된다...는 거죠.
뭐 이미 알고 계시고 의도적 표현이었다면 죄송^^;
반가워. 일전에 한국 왔을 때 뵙지를 못해서 안타까웠다네..;
예전 DSLR의 초보가 저지르는 실수를 고대로 답습하면서 막 찍어댈때의 사진이었는데, A접점이 달린 50.4 수동렌즈가 맞어.
응당 A접접을 활용할 줄 알아야 하는데 저때 당시는 무조건 Av로 맞추고 조리개를 1.4 ~ 2.0 이상 조이지 않고 미친듯 찍어댔었지..
이케백이 액정에 나오는 사진과 컴퓨터에서 보는 사진(그나마 맥에서 보는 색깔이 출력물과 비슷하더라고 생각은 하지만) 의 밝기에서 오는 괴리감은 생각지 않고 무조건 밝고 흔들리지 않는 사진을 찍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었던 것 같다.
것보다 MF를 효과적으로 맞추는 방법을 오히려 더 강구했었어야 했는데..지금은 일단 조이고 볼려고 한다!!